영화 이미테이션 게임, RSA 암호체계란 무엇일까?
이번 글에서는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암호체계인 RSS암호체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개요: 드라마
감독: 모튼 틸덤
출연: 배네딕트 컴버배치(앨런 튜링 역), 키이라 나이틀리(조안 클라크 역), 매튜 구드(휴 알렉산더 역)
상영시간: 114분
개봉일: 2015. 2. 17.
평점: 8.71점
관객수: 174만 명
등급: 15세 관람가
줄거리&결말
1939년 런던, 나치 독일의 영국 공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천재 수학자 앨런 튜닝은 영국 정보부의 요청으로 라디오 공장으로 가게 된다.
그들은 '애그니마'라는 독일의 암호기를 해독하기 위해 기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고, 앨런은 자신을 받아달라고 요청한다.
애그니마는 24시간마다 설정이 바뀌어서 해독이 불가능에 가까웠고, 인간의 능력을 사용해 암호를 해독하려는 팀원들과는 반대로 앨런은 정교한 기계를 만들어 암호를 해독하려고 노력한다.
기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10만 파운드가 필요한 상황에서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중령은 이를 거절하고, 앨런은 처칠에게 자신의 신념이 담긴 편지를 전하며 결국 지원도 받고 자신이 팀장에 자리에 오르게 된다.
그 후 가로세로 퀴즈를 6분 안에 푸는 테스트를 통해 조안 클라크라는 여성 지원자를 포함한 팀원 2명을 충원하고, 연구에 박차를 가한다.
그러나 24시간마다 설정이 바뀌는 애니그마는 해독하기 쉽지 않았고, 매일 자정이 울리는 알람 소리는 그들의 해독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종소리가 된다.
성과가 없자 팀원과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기계에만 매달리는 앨런에게 불만이 쌓여가고, 조안은 앨런에게 모두 힘을 합쳐야 해결할 수 있다고 조언을 해준다.
조언을 듣고 앨런은 팀원들에게 다가가는 모습을 보이고, 팀원들 역시 이러한 앨런에게 점점 마음을 열고 함께 연구를 진행해 나간다.
성과가 없자 프로젝트의 담당 중령은 앨런을 찾아와 해고하려 하는데 앨런의 팀원들이 앨런을 돕고 나서서 1달의 시간을 추가로 얻는다.
그 후 한 펍에서 앨런은 조안의 동료 헬렌을 통해 애니그마 해독의 결정적인 단서를 '하일 히틀러'라는 단어를 얻게 되고, 애니그마 해독에 결국 성공하게 된다.
애니그마 해독에 성공하였지만 독일군이 암호를 해독한다는 의심을 사서는 안 되는 상황이었고, 그들은 독일군에게 의심을 받지 않는 선에서 공격을 하고 희생을 감수하며 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나간다.
앨런 튜닝은 천재 수학자로 위대한 업적을 남겼지만 우울증으로 인해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느낀 점
영화를 보면서 암호체계를 해독할 수 있다는 것이 신선하게 다가왔다. 특정 사이트에 로그인을 할 때 필요한 암호, 은행 공인인증서 암호 등은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암호인데 이러한 암호를 해독할 수 있다고 하면 사회에 큰 문제가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영화에서 독일군에게 암호를 해독하는 것을 들키지 않기 위해 사람을 살리는 부분과 희생하는 부분을 결정했을 앨런의 마음을 생각하면 결국 우울증으로 사망한 것이 이해가 되었다. 사람의 생사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인다면 감정적인 생각보다는 공리주의자처럼 생각하고 철저히 이성적으로 사건을 바라봐야 할 것 같기 때문이다.
인상 깊은 대사
두 남자가 숲 속을 지나가고 있는데 곰을 보았다. 남자 1은 곰을 보면서 무릎 꿇고 기도했고, 남자 2는 신발끈을 묶기 시작했다. 그러자 남자 1이 말했다. "곰보다는 빠르게 달릴 수 없을 텐데..." 그러자 남자 2가 말했다. "그렇지 않아 너보다만 발리 달리면 돼" (앨런 튜링)
넌 신이 아니야, 앨런! 네가 뭔데 사람 목숨을 결정해? (팀원 중 한 명)
우리가 결정해야 해(앨런 튜링)
사람들이 왜 폭력을 좋아하는지 알아요?
기분이 좋아지기 때문이에요
인간은 폭력에서 큰 만족감을 얻죠
하지만 만족감을 주지 않으면 폭력은 그 의미를 잃죠 (앨런 튜링)
가끔은 기분이 아니라 논리에 따라 행동해야 해!
거짓말을 기대하는 상대에게 거짓말을 하는 건 바보짓이지 거짓말을 예상하고 있을 때 거짓말을 해서는 안돼
(앨런 튜링)
난 믿어요
가끔은 생각지도 못한 누군가가 누구도 생각지 못한 일을 해내는 거라고 (조안 클라크)
RSA 암호체계란 무엇일까?
RSA 암호는 공개키 암호체계 중 하나이다. 오늘날 전자서명 기능을 요구하는 전자상거래 등 많은 곳에 활용되고 있다.
RSA 암호는 큰 수를 소인수분해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에 기본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숫자 12를 소인수분해하면 2*2*3으로 쓸 수 있다. 그러나 8633을 소인수분해하라고 하면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다.
그런데 이 숫자가 29385792958018502175075172987549213과 같이 엄청 큰 숫자라면 컴퓨터라 하더라도 인수분해를 하는 것에 엄청난 시간이 걸릴 것이다.
이렇게 큰 숫자가 소인수분해하는데 어려운 것을 사용하여 암호체계를 만들고 암호를 푸는 사람에게는 나누어지는 숫자를 제시해주고 소인수분해를 편하게 해주는 암호체계가 RSA 암호체계이다.
RSA 암호체계가 깨진다면 전사상거래 상에 큰 물의가 빚어지게 된다고 한다. 미래에 수학이 발전하여 RSA 암호체계를 깨트릴 수 있는 이론이 나오게 될지 궁금하다.
'Movie 시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좋아해줘, 커플별로 전하는 세 커플의 이야기 (1) | 2022.02.18 |
---|---|
영화 HUSH,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에서 오는 공포 (1) | 2022.02.17 |
영화 21, 블랙 잭 게임 규칙 (0) | 2022.02.15 |
영화 인턴 리뷰, 인턴제도의 용어와 종류 (0) | 2022.02.15 |
영화 퀸카로 살아남는 법, 미국 학교와 한국 학교의 차이점 11가지 (0) | 2022.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