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나 명절에 응급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
연휴 중에는 많은 병원, 약국이 문을 닫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당황스럽기 마련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벌에 쏘인 상황]
명절 때, 벌초를 하거나 성묘를 가면서 산에 올라가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벌에 쏘이는 사고가 많이 발생합니다. 만약 벌에 쏘였다면 아래와 같이 처치해 주시면 됩니다.
1. 카드 또는 종이를 이용하여 벌침을 살살 긁어서 제거하기
2. 벌침을 제거한 후에 쏘인 부위에 비누를 사용하여 닦고 물로 헹구기
3. 아이스 팩이나 얼음을 사용하여 냉찜질하기 (붓기 완화)
4. 붓기가 있을 시에는 벌에 쏘인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들기
다만, 벌에 쏘인 후에 온몸이 가려운 증상, 목 안이 붓는 증상, 호흡이 곤란한 증상, 입 안이나 목 안에 벌이 쏘인 경우는 병원에 즉시 가보셔야 합니다!
[화상을 입은 상황]
명절이나 연휴 때 화상일 입는 사고도 증가한다고 합니다. 아마 음식 준비를 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화상을 입은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이 처치해 주시면 됩니다.
1. 흐르는 차가운 물에 15분 정도 화상 부위 씻기
2. 화상 부위 면적이 작으면 감염되지 않게 소독 후 거즈로 감싸기
다만, 화상 부위에 물집이 생기는 2도 화상을 입은 경우에는 감염될 위험이 있으므로 병원에 방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칼에 베인 상황]
요리나 칼을 써야 하는 상황 등에 손이 베일 수 있습니다. 이때 대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상처가 생긴 부위를 흐르는 물이나 수돗물, 식염수에 2~3분 정도 세척합니다.
2. 거즈에 식염수를 적셔 상처 부위가 마르지 않도록 감쌉니다.
(거즈를 대신하여 휴지를 사용하는 것은 2차 감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지양)
다만, 상처가 2mm 이상 벌어졌거나 출혈이 잘 멎지 않는 경우는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눈에 나무나 돌조각이 들어간 상황]
명절에 벌초나 성묘를 가다 보면 나무 조각, 돌조각이 눈에 박히는 일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 대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작은 이물질의 경우 눈꺼풀을 뒤집어서 들어 올리거나 눈을 깜빡이기, 물이나 식염수를 눈에 부어 씻겨 내려가게 하기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다만, 이물질이 큰 경우 만지면 각막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로 안과나 응급실로 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코피가 안 멈추는 상황]
코피가 종종 멈추지 않는 상황이 있습니다. 이 경우 대처해야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양 콧볼을 동시에 세게 잡아서 누르며 출혈 부위를 10~15분 정도 압박하기
2. 코피가 멈춘 뒤 코 안쪽 상처에 연고 바르기
다만, 휴지나 솜으로 코를 세게 막는 것은 코 안쪽의 상처의 손상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발목을 다친 상황]
발목을 다치는 대부분의 상황은 발목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꺾이면서 바깥에 있는 인대나 근육, 뼈가 손상되는 경우입니다. 발목이 다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대처하시면 됩니다.
1. 압박 붕대를 사용하여 상처 부위를 압박하기
2. 발목을 심장보다 높게 들어 올리기
3. 얼음찜질 하기, 가급적 움직이지 ㅁ라기
4.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받기
발목의 경우 인대가 늘어나거나 끊어지는 경우, 골절 등 다양한 상황들이 있으니 꼭 병원을 방문하시어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연휴나 명절 등 병원이 많이 닫은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벌에 쏘인 상황, 화상을 입은 상황, 칼에 베인 상황, 눈에 나무나 돌조각이 들어간 상황, 코피가 안 멈추는 상황, 발목을 다친 상황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아무쪼록 연휴나 명절에 다치는 일이 없으시고 행복한 휴식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일상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기력의 원인과 무기력에서 벗어나는 방법 (feat.뇌과학) (3) | 2024.09.18 |
---|---|
인사팀 직원이 말하는 일잘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 3가지 (0) | 2024.09.16 |
드라마 미생 명대사 BEST4, 사회생활 하는 분들은 공감 100%하는 내용 (7) | 2024.09.14 |
30대에 꼭 해야할 경험과 일 3가지 정리 (20) | 2024.09.10 |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주의해야할 증상과 질병, 이유 7가지 정리 (6) | 2024.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