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삶을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
안녕하세요! 오늘은 행복한 삶을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제가 생각한 것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각자 행복한 삶에 대해 생각하는 바가 다를 수는 있지만 제가 했던 생각의 흔적을 따라가다 보면 각자의 행복한 삶이 무엇인지 알 수 있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우리 모두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떠나보아요ㅎㅎ
1. 행복한 삶?
'행복'이라는 단어는 우리의 삶의 목적이 되기도 하고,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행복을 느끼는 상황과 정도는 다르기 때문에 막연하게 다가오는 단어이기도 합니다.
모두가 행복하게 살고 싶지만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보는 사람은 생각보다 적습니다.
2. 삶의 유형
각자 행복한 삶에 대해 생각해보기 전에 우리가 사회를 살아가는 삶은 어떤 형태가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1) 남이 바라는 삶
우리는 청소년기부터 부모님의 보호아래 살아왔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부모님의 기대에 부흥하기 위해 노력하며 살아갑니다.
물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 독립적인 사고를 하지만 생각보다 부모나 친구, 연인, 직장 상사, 지인이 바라는 삶에 나를 맞추어 살아가는 사람이 많습니다.
(2) 사회가 바라는 삶
우리는 드라마, SNS 등에서 한강이 보이는 아파트, 스포츠카, 로또 당첨 등을 심심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보면 자연스럽게 동경하게 되고 그러한 삶을 살고 싶어 하게 됩니다. 이처럼 사회가 만들어낸 그런 삶이 우리가 살아가는 삶이 되기도 합니다.
(3) 내가 바라는 삶
마지막은 내가 바라는 삶입니다. 말그대로 내가 바라는 삶입니다.
사람들에게 어떤 삶을 살기 원하냐고 물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내가 바라는 삶'을 살고 싶다고 대답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내가 바라는 삶은 무엇일까요?
3. 내가 바라는 삶 알아보기
내가 바라는 삶이 무엇인지 생각해보지 않은 분들은 아래의 단계를 따라서 각자 시행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나를 3인칭 시점으로 바라보기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이 좋아하는 것을 알기 위해 유심히 지켜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내가 나 스스로를 관찰자로 두고 3인칭 시점으로 바라보는 것 입니다.
그렇게 혼자서 독백을 하면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2) 10년 뒤 내가 원하는 모습을 상상하기
다음으로 10년 뒤에 내가 원하는 모습을 상상하는 것입니다.
저는 제가 일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싶습니다.
그 시스템을 통해 월급 정도의 돈을 벌었으면 좋겠습니다.
일부분만 말했지만 자신이 원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릴수록 좋습니다.
(3) 10년을 분할하기
10년 뒤에 내가 원하는 모습을 상상했다면 10년을 1년, 1개월, 1주일로 분할해서 바라보면 내가 지금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분명해질 것입니다. 저는 일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블로그를 쓰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나눠보면 자신이 지금 해야할 일이 분명해지고, 조금 더 바라는 삶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
4. 마무리
여기까지 글을 읽으셨다면 이 글을 통해 충분히 동기부여받으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바라는 행복한 삶은 타인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남을 부러워하고 시기하고 질투하는 대신에 자신이 바라는 삶을 위해 묵묵히 한 발 한 발 내딛다 보면 어느새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도 자신이 바라는 삶에 대해 돌아보는 좋은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일상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학년도(2023년 시행) 수능(대학수학능력시험) 시험정보 및 세부계획 정리 (0) | 2023.07.22 |
---|---|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 정리, 우리의 대처 방안은? (0) | 2023.07.15 |
여름철 물놀이 필수품, 수영복, 래시가드 오래 입는 관리 방법 (0) | 2023.07.05 |
청라 씨네큐 전좌석 리클라이너 영화관, 방문 후기 및 할인 정보 (0) | 2023.07.04 |
구일역 고척스카이돔 풋살구장, 무료주차방법 및 이용 후기 (0) | 2023.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