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 정리, 우리의 대처 방안은?

일속 발행일 : 2023-07-15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이슈인 새마을금고의 뱅크런 사태에 대해 정리해 보고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뱅크런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한 번씩 읽고 가시면 좋을 듯합니다!

 

1. 뱅크런(Bank-run)?

 

뱅크런이란 은행에 예금한 금액을 단기간에 대량으로 인출하려고 하는 사태를 말합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로 말할 수 있습니다.

 

 

2.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 이유

(1) 연체율

새마을금고의 뱅크런이 일어난 가장 큰 이유는 "연체율"입니다!

 

어떤 연체율이냐면요!

부동산 PF대출에 대한 연체율입니다.

 

그렇다면 PF대출이 뭐냐면요!

돈을 빌려줄 때 빌리는 사람의 신용이나 담보를 보지 않고, 그 사람이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경제성이 있다고 보는 금융대출이라고 합니다. 

 

즉, 작년부터 부동산 경기침체로 인해 PF대출의 부실이 붉어지면서 돈을 빌려준 증권사나 금융사들 중 난감해하는 기관들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3.59% -> 5.34%로 급등하였고, 이 연체율은 일반 농협이나 신협 등 상호금융의 연체율의 2배라고 합니다.

 

(2) 새마을금고의 정책

새마을금고는 대출자들에게 올해 말까지 연체된 이자와 앞으로 내야 될 정상적인 이자도 감면해 준다는 정책을 내세웠습니다.

이 정책이 고객들에게 그만큼 어려운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사게 되었습니다.

 

(3) 비리 및 폐업 지점 등장

새마을금고는 최근에 직원이 129억을 횡령해 징역형을 받게 되고, 여러 비리들이 줄곳 이어졌습니다.

또한 남양주 동부새마을금고가 폐업하게 되면서 고객들의 불안이 가중되었습니다.

 

 

3. 정부의 대처

정부는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으로 이루어진 위기관리 컨트롤타워 '범정부대응단'을 꾸렸습니다.

 

그 후 새마을금고의 지급여력이 충분하다는 설명과 시민들께 안심해도 된다는 브리핑을 하였습니다.

 

정부가 꾸린 범정부대응단에서 마련된 플랜을 통해 유사시 고객들의 돈은 충분히 지급 가능하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새마을금고는 창설 60년 역사 이래 고객의 예금을 지급 못한 적은 없었고, 새마을금고 중앙회에서 77.3조 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예금자 보호 준비금은 2.6조 원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4. 우리의 대처 방안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우선 5,000만 원 이하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분들은 안심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예금자 보호법에 의해 은행이 망하더라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5,000만 원을 넘는 돈을 예금한 고객분들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

정부의 발표에 의하면 돈을 넣은 새마을금고의 지점이 망한다고 해도 병합된 다른 지점에서 이자와 원금을 보장해 준다고 말하였습니다.

또한 정부의 설명대로 지금의 연체율은 새마을금고에서 충분히 컨트롤할 수 있는 금액이라고 생각하고 안심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물론 돈을 넣은 입장에서는 불안할 수 있지만 이 사태만큼은 정부와 새마을금고를 믿고 돈을 유지하는 쪽을 택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