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국가부도의 날, 우리나라의 1997년 IMF 당시 상황속으로
이 포스팅은 김혜수, 유아인 주연의 영화 국가부도의 날의 줄거리, 결말, 명대사, 후기를 포함한 리뷰 글입니다. 1997년 IMF를 선언한 우리나라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영화로 만든 작품입니다. 많은 사람의 눈물과 애환이 담긴 시대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세요~!
개요: 드라마, 한국
감독: 최국희
출연: 김혜수(한시현 역), 유아인(윤정학 역), 허준호(갑수 역), 조우진(재정국 차관 역), 뱅상 카셀(IMF 총재 역)
상영시간: 114분
개봉일: 2018. 11. 28.
평점: 8.71점
관객수: 375만 명
등급: 12세 관람가
국가의 경제 위기
통화정책실장 한시현 팀장은 상관에게 한국 경제에 관련된 윗사람들의 소집 요청을 합니다. 그렇게 재정국 차관과 금융실장이 모이게 되고 한시현 실장은 지금 이대로라면 한국 경제 사태가 1주일 안에 국가부도 상황으로 이어진다고 말합니다.
한시현 팀장 말고 국가가 부도날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 한명 더 있습니다. 고려 종합금융회사의 사원 윤정학입니다. 정학은 1주일 안에 대한민국이 망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정학은 평소 자신과 거래를 해오던 투자자들을 모아 이 사실을 설명하지만 대부분 믿지 않고 자리를 떠나고 2명만 남게 됩니다.
정학의 설명은 기업에 은행에서 어음을 발행하는 대출을 받는데 이 당시 대출은 믿음으로 하는 거래에 가까웠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묻고 따지지도 않고 대출을 해주는 바람에 대기업은 해외 투기자본에서 빚을 담보로 다시 빚을 내는 일을 합니다. 그렇게 빚이 제조업체로 내려가게 되는데 어느 하나라도 삐끗하면 와르르 무너진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그렇게 윤정학의 말을 믿고 남은 2명 중 한명은 '이 나라의 위기관리 능력이 없다는 자네의 말에 투자하겠네'라는 말을 남기며 정학을 따릅니다. 윤정학은 현재 환율이 800원인데 곧 2000원까지 치솟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투자자들이 가진 돈을 전부 달러로 환전합니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자 대한민국은 점점 더 힘들어 집니다. 부도가 나는 기업이 많아지고, 자살률 또한 상승하게 됩니다. 당시 4위 기업인 대우마저 위험하다고 하니 심각한 상황입니다.
IMF팀과의 협상
재정국 차관은 IMF로 가자고 의견을 제시하고 시현은 IMF는 안된다는 입장이지만 결국 IMF 협상팀과 협상에 돌입하게 됩니다. 언론에는 IMF로 가지 않는다고 발표하고 들어간 협상에서 IMF팀은 본 협상 내용을 뒤집거나 번복하지 않는다는 각서를 쓰라고 말합니다. 그렇게 각서를 받아오기로 하고, IMF팀을 받아들인 우리나라는 IMF에 돌입하는 것을 국민들에게 전달합니다.
IMF팀이 바라는 선결 조건으로
한국에서 종합금융사라는 이름으로 운영중인 11개 업체를 부도처리해달라는 무리한 요구를 합니다. 중소기업과 서민들을 국가가 도산시키는 꼴이지만 한국은 이러한 요구를 받아들입니다.
그리고 무리한 요구는 계속됩니다
A안: IMF에서 돈을 지원 받는 즉시 한국의 금리를 12%->30%로 인상한다.
B안: 외국인 주식투자 소유한도를 7%->50%로 상향, 외국 금융기관이 한국 금융기관을 인수 합병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바꾸기
시현은 '그 어떤 국제기구라도 구제 금융을 이유로 한 나라의 경제적 자율성을 침해할 권리는 없다'라고 이야기 하지만 먹히지 않습니다.
시현은 IMF팀과 함께 있는 미국 재무부 차관 마틴을 기억해내고, IMF의 배후에 미국이 지시를 내리는 것은 아닌지 합리적 의심을 합니다. 결국 IMF팀은 한시현 실장을 내쫓지 않으면 협상이 결렬된다는 강수를 두게 되고 한시현 실장은 퇴장당합니다.
회의실을 나온 한시현 팀장은 차라리 국가를 부도내고 여론에 IMF의 행태를 공개하려고 하지만 모든 언론사에서 이를 내보내지 않습니다. 결국 우리나라는 IMF의 법정관리에 들어갑니다. 자신이 아무리 노력해도 바뀌는 것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눈물을 훔치는 한시현 팀장을 뒤로 영화는 끝이 납니다.
명대사
비 정규직이 늘어나고 실업이 일상이 되는 세상, 그런 세상을 오게 하면 안됩니다. (한시현)
의심하고 또 의심할 것. 끊임없이 사고할 것. 세상을 깨어있는 눈으로 바라볼 것. (한시현)
당연한 것을 당연하게 여기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윤정학)
저는 대한민국이 일주일 안에 망할 거라 생각합니다. (윤정학)
후기
국가부도의 날 영화는 1997년 우리나라에 실제 있었던 IMF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영화에서 시현과 정학은 다른 위치에서 국가의 부도를 예측합니다. 정학의 브리핑으로 투자자 2명은 자신의 돈을 어떻게 할지 고민하게 됩니다. 결국 정학을 믿고 돈을 벌게 되지만 제 생각에는 그 투자는 직접 알아보고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영화는 여러 가지 경제 상황을 쉽게 풀어내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다만 경제에 대해 무지한 상황이라면 영화를 보는 것이 조금 이해하 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영화는 우리나라의 과거 IMF 당시 상황이 얼마나 심각했는지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 우리나라의 교육에 아나바다 운동, 물 아껴 쓰기, 전기 아껴 쓰기 등의 이야기를 초등학교 때부터 하게 되었다는 사실이 마음에 아팠습니다.
영화의 액션씬은 없지만 IMF가 궁금하다면 이 영화를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마지막으로 영화 마지막 장면에 대한민국의 당시 상황을 설명한 글을 적으며 물러나겠습니다.
영화 국가부도의 날이었습니다.
'Movie 시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푸리오자, 상상을 깨는 유럽 훌리건들의 문화 (0) | 2022.04.25 |
---|---|
영화 코다, 가족을 위한 희생과 음악에 대한 꿈 (0) | 2022.04.23 |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수학을 잘하기 위해 제일 중요한 것 (0) | 2022.04.19 |
영화 마녀, 마녀를 찾는 박사와 그녀의 각성 그리고 마녀2 개봉 정보 (0) | 2022.04.18 |
영화 올드, 시간이 하루에 50년 흐르는 해변 (0) | 2022.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