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의 후속작 A to Z

일속 발행일 : 2023-02-14

이번 포스팅은 최대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는

2023년 6월 출시예정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현재까지 알려진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과의 비교도 적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적금 상품

 

2. 가입대상

만 19세 ~ 34세 이하 대한민국 청년

(단,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으로 최대 6년

 연령 계산 시 제외)

3. 가입소득조건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기준 중위소득 180%란?

전체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

(2022~2023의 경우 중위소득 180%는

 1인 가구: 약 370만 원/ 2인가구: 약 620만 원)

 

자세한 중위소득표가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기준 중위소득표 보러가기

 

4. 청년도약계좌 안내

- 납입한도 최대 70만 원

- 5년 의무가입

- 돌려받는 금액: 납입금액 + 정부기여금 + 은행이자

- 정부기여금 (미정)

  -> 높은 소득: 납입금의 3% 기여금 지원

  -> 낮은 소득: 납입금의 6% 기여금 지원

-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소득 등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

  (예정)

 

예시) 납입한도 70만 원을 5년간 납입한 경우

원금: 70만원 × 12개월 × 5년 = 4,200만 원

이자: 정부기여금 + 은행이자 = 800만 원

=> 5,000만 원

5.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 소득기준: 청년도약계좌가 더 넓음

- 정부기여금: 청년도약계좌가 더 많음

- 최대 월 납입금액: 청년도약계좌가 더 많음

- 납입기간: 청년도약계좌가 더 길음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가입 대상 만 19세 ~ 34세 이하 대한민국 청년 (병역 이행기간 제외)
소득 조건 총 급여 3,600만원 이하 청년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납입 조건 최대 월 50만원 납입(2년 만기) 최대 월 70만원 납입(5년 만기)
정부 기여금 최대
1년차 2%(12만원)
2년차 4%(24만원)
(만기 시 지급)
3~6%(월 지급)

 

6. 청년도약계좌의 장단점

(1) 장점

- 은행이자에 정부 지원금이 더해져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

-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예정)

- 최소 가입 금액 없음

 

(2) 단점

- 5년이라는 긴 납입기간

- 현재 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 7개월간 30만 명 이상

 

7. 마무리

현재까지 알려진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청년도약계좌가 나오는 6월에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항

아직 미정입니다. 6월까지 기다려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내용이 확정되면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