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녀 경제교육을 위한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이야기

일속 발행일 : 2024-10-21

오늘은 자녀의 경제 교육을 위한 부자아빠와 가난한 아빠의 이야기를 비교를 통해 해보려 합니다. 평소 자녀에게 돈에 대한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라면 이 영상을 한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썸네일
썸네일

 

가난한 아빠

우리나라에서 부자 아빠의 자녀가 부자가 되고, 가난한 아빠의 자녀는 가난해지며 중산층 아빠의 자녀는 빚이 더 많아지는 삶을 사는 이유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그 이유는 가난한 아빠의 자녀는 부모로부터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에 가고, 좋은 직장에 취직을 하거나 전문직이 되라는 교육을 받고 자랍니다.

 

이러한 교육을 받은 자녀는 좋은 직업을 얻을 수는 있겠지만 돈에 관해서는 불안하거나 가난한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우리가 평소 생각하는 안정적인 직업, 돈을 받이 받는 직업이 가난한 삶이라고 해서 이해가 가지 않으신가요?

 

아래 부자아빠의 이야기를 보면서 그 이유를 찾아보겠습니다.

 

부자아빠

(1) 두려움에 지배당하지 말기

우리에게 두 가지 삶이 있다고 해봅시다. 하나는 일한 만큼 돈을 벌지만 실패하면 굶어 죽는 삶이고 다른 하나는 돈을 일정하게 벌지만 굶어 죽지는 않고, 큰돈을 벌 수는 없는 삶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삶을 선택하실 건가요?

전자를 선택할 것 같지만 많은 사람은 후자를 선택하고 살아갑니다. 그 이유는 두려움 때문입니다. 

'돈이 부족하면 어떡하지?', '굶어 죽으면 어떻하지?', '실패하면 어떻하지?' 등의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직장을 열심히 다니며 출근하고 일하여 월급을 받고 빚을 갚으며 사는 삶을 반복하여 살아갑니다. 하지만 직장을 다니며 살아가는 삶이 돈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지는 않습니다.

 

돈에 대한 고민은 계속하며 살아가고, 두려움이 없어지기를 원하지만 그렇지는 않습니다.

'직장은 장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기적인 해결책이다'라는 말에 공감하고 장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찾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2) 자산과 부채를 구분하기

자산이라고 하면 우리 주머니에 돈을 넣어주는 것을 의미하고, 부채는 우리 주머니에서 돈을 빼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자산으로는 주식, 펀드, 부동산, 저작권 등의 수익이 해당하고, 부채로는 식비, 의류비, 여가비, 주택담보대출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가난한 아빠는 월급을 받아 부채를 내는 데 삶을 살아가고, 부자아빠는 일을 하지 않아도 돈을 벌 수 있는 패시브 인컴 형태의 자산을 늘려나가는 삶을 살게 됩니다.

 

즉, 우리가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잠을 잘 때도, 일을하지 않아도 돈을 벌 수 있는 패시브 인컴을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부자아빠와 가난한 아빠의 비교

가난한 아빠는 자신의 집이 가장 큰 투자이고 자산으로 생각하지만, 부자아빠는 자신의 집이 부채이고, 가장 큰 투자가 되면 곤란하다는 입장입니다.

 

가난한아빠는 돈에 관해서는 안전을 추구하라는 입장이지만 부자아빠는 위험 그 자체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라는 입장입니다.

 

가난한 아빠는 정부가 복지 정책으로 우리를 돌봐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부자아빠는 정부의 복지 정책은 우리를 나약하고 금전적으로 취약하게 만든다고 말합니다.

 

가난한아빠는 부자가 아닌 이유가 자녀에게 돈이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부자아빠는 자녀들 때문에 부자가 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두 아빠 모두 교육이 인생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에는 공감하지만 가난한아빠는 자녀가 공부를 해서 전문가나 안정적인 직장에 취직하기를 바라지만 부자아빠는 돈이 나를 위해 일하는 원리를 배우기를 원합니다.

 

 

마무리

오늘은 부자아빠와 가난한 아빠의 이야기를 통해 부자가 되기 위한 방법과 자녀의 경제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부분의 부모님은 공부를 열심히 해서 대학에 가고, 좋은 직장에 취직하기를 원하지만 이렇게 사는 삶은 돈에 대해 불안감을 계속 쥐고 살아가게 만듭니다.

 

우리는 자녀에게 돈이 나를 위해 일하는 원리를 가르치고, 일하지 않아도 돈을 벌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데 집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