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버는 방법에 대한 영상, 글, 강의에 대해 생각해봐야 할 중요한 점

일속 발행일 : 2024-10-13

요즘 유튜브만 보더라도 월 500만 원, 월 1000만 원 벌 수 있다는 자극적인 영상들이 많습니다. 이런 자극에 끌려 영상을 클릭하고 실행도 해보는 분들을 위해 생각해봐야 할 중요한 점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썸네일
썸네일

 

돈을 벌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다니면서 추가로 돈을 벌 수 있는 부업에 대해 고민합니다. 실제로 유튜브에는 부업에 대한 영상들이 많습니다. 위탁 판매, 구매 대행, 지식 판매, 광고 대행, 블로그, 유튜브, 스마트스토어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돈을 벌 수 있다는 강의를 보고 돈이 안벌리게 되면 여러분은 사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때 생각해봐야 할 2가지가 있습니다.

 

1. 진짜 돈이 벌릴만한 정보를 봤는가?

2. 정보를 듣고 내가 제대로 실행했는가?

 

이에 대해 점검하고 생각해볼 수 있는 내용을 아래에 적어보겠습니다. '왜 나는 안될까?',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시는 분들도 아래 글을 확인해 주세요!

 

 

'해봤는데 사기다'

많은 사람들은 말합니다. '해봤는데 사기다'

그런데 우리가 생각해봐야할 부분이 얼마나 해봤는지를 측정할 수가 없다는 점입니다.

 

정주영 회장님처럼 해본 것과 퇴근 후 1~2시간 투자한 것과의 해본 것은 차이가 분명히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해봤는 데의 온도는 모두가 다를 수 있습니다.

 

'해봤는데 사기다'의 한 예시를 보겠습니다.

김성공씨는 유튜브를 하면 돈을 벌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유튜브 강의를 듣습니다. 썸네일 작성법, 콘텐츠 만드는 법, 주제, 편집하는 방법 등의 노하우를 듣고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게 채널을 개설하고, 촬영, 편집하여 첫 영상을 올리지만 조회수가 0입니다. 첫 영상이라서 그런거라 생각하고 영상을 계속해서 올려보지만 모든 영상의 조회수는 100이 되지 않습니다.

 

김성공 씨는 역시 강의는 사기다. '해봤는데 사기다'라고 생각하며 유튜브를 그만둡니다.

 

여기서 김성공씨가 부족했던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아래 글에서 3가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생각해 볼 중요한 점

위에서 말한 것처럼 돈을 벌 수 있다는 영상, 강의 글에 대해 생각해볼 중요한 점을 3가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학습과 실행은 다르다

학창 시절에 학원이나 학교에서 수업을 들었던 기억을 돌이켜보겠습니다. 여러분은 수학 강의를 들으면 점수가 바로 오르셨나요?

물론 조금 오를 수는 있지만 대부분 그렇지는 않습니다. 많은 문제를 풀어보고 복습하고 자습하는 과정이 있어서 점수가 올라가게 됩니다.

 

즉, 무언가를 배우면 바로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생각을 하시면 안 됩니다. 학습을 하는 것과 실행을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물론 학습을 한다는 것은 내가 좋은 내비게이션을 장착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네비게이션은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학습이 역할을 한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네비게이션을 찍고 그 지점을 가면서 생기는 사고, 길 막힘, 고난 등의 상황은 우리가 직접 실행을 하면서 경험하고 돌파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학습을 통해 이러한 고난을 넘어설 수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위에서 김성공 씨가 잘못한 것은 학습과 실행을 분리해서 생각하지 않고, 실행을 하면서 안된 이유를 분석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우리는 실행을 하면서 안 되는 이유를 적고 분석하며 해결책을 찾아가야 합니다.

 

유튜브에는 고퀄리티의 양질의 정보가 있지만 이것들을 듣기만 해서는 실행이 순조롭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고 고민하고 점검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합니다.

 

 

2. 끝물인 정보

많은 강사들이 정보를 오픈할 때, 그 정보의 용도가 다해서인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글쓰기에서 '근로장려금'이라는 키워드로 글을 쓰라고 하는 영상은 그 키워드가 끝물이어서 강의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이 써보고 단물을 다 빨아먹은 뒤에 이제 돈이 잘 되지 않으니 콘텐츠로 만들어서 많은 독자들을 유혹하는 경우인 것입니다. 몇 년 전에 스마트스토어, 페이스북 강의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거의 없어졌습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많은 사람들이 시도하는 시기에 맞춰서 진입장벽이 낮은 두 대상의 강의가 떠오른 것입니다. 이처럼 인기가 있을 때 반짝 떠오르는 정보에 현혹되지 말고, 끝물인 정보에도 현혹되서는 안됩니다.

 

3. 최소 1년은 삽질해 보기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을 정했다면 최소 1년은 해봐야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강의를 듣고 1~3달 해보고 성과가 나지 않으면 의욕이 떨어지면서 포기하거나 멀어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대학을 가고 취업을 할 때도 최소 3~5년 이상 공부를 하는데 돈을 벌고 싶은 영역에 도전을 하여 1~3개월 만에 성과를 얻고자 하는 것은 욕심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최소 1년은 삽질을 해봐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실패도 하고 좌절도 하고 잘못된 방향으로 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있어야 내가 단단해지고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가 좋습니다.

 

우리는 강의를 한 사람이 그동안 해왔던 시행착오를 보지 못하고, 그들이 하라는 대로 하면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들은 그동안 겪었던 시행착오가 있기 때문에 같은 정보를 들어도 다르게 받아들일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도전하는 분야의 감각을 얻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인터넷에는 우리를 현혹하는 잘못된 정보나 고액의 강의를 받고 얻어갈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는 사기 같은 강의들도 많습니다. 우리는 이 정보들을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올바른 정보라고 생각한 것을 듣고 도전했을 때 실패한 경우 실패의 원인을 외부로 돌려서는 나를 성장시키기 어렵습니다.

 


군자는 잘못했을 때, 본인에게서 잘못을 찾고 소인배는 잘못했을 때 이유를 남에게서 찾는다
-공자의 말-

 

물론 좋지 않은 강의나 자료들도 있지만 그 또한 나의 잘못된 선택으로 인해 보게 된 것이므로 실패를 나의 잘못으로 돌리시어 성장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