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비자 물가와 비교하여 나의 물가 상승률 체험하기

일속 발행일 : 2023-02-09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정부에서 공지하는 소비자 물가상승률과 비교하여

내가 사용하는 제품들을 대입했을 때, 물가 상승률이 어떻게 되는지 체험해 보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내가 사용하는 물품을 대입하여 나의 물가 상승률을 체험해 보세요!

아래에 링크 넣어놓을게요! 설명 읽어보시고 한번 체험해 보세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것이니 신뢰해도 좋습니다.)

밑의 설명 읽은 후 아래 링크 클릭

↓↓↓↓↓

나의 물가 체험하기 링크

1. 소비품목, 지역 선택하기

먼저 위에 거주 지역을 선택한 후에 지난달에 구입한 물품들을 선택해줍니다!

예를 들어 주택·수도·전기·연료에서 공동주택관리비, 전기료, 도시가스, 지역난방비를 클릭

교통에서 휘발유 클릭, 식료품에서 쌀 달걀, 초콜릿 등등 구매한 음식을 클릭합니다.

 

2. 결과 보기

결과를 보시면 2020년 기준이 100이라면 2023년 1월 공식 물가지수가 110.11이고

나의 물가지수는 118.06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공식 물가는 10프로 정도 올랐는데 내가 구매한 물품들만으로 보면 18프로 정도의 물가 상승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식 물가보다 높게 훨씬 높게 올라갔네요 ㅠㅠㅠ

이러니 체감 물가는 더 높은 것 같습니다.

결과 보기

 

아래는 공식 물가를 100이라고 했을 때, 제가 클릭한 분야 물품의

물가 상승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보여줍니다.

 

제가 선택한 부분 중에는 공식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의 상승은 11%인데

나의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상승은 24%로 2배 이상 높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공식 물가가 오른 것이 11%라고 해도 내 물가는 24%나 오른 것이네요 ㅠㅠ

 

아래는 물가 상승률을 그래프로도 보여줍니다.

초록색 선이 공식 물가지수, 주황색 선이 나의 물가지수입니다.

나의 물가 지수가 공식 물가 지수에 비해 훨씬 위에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물가지수

 

3. 마무리

- 직접 나와 관련이 있는 항목들을 선택하여 공식 물가 지수와 비교해 보니

  공식 물가지수 상승률에 비해 나의 물가지수 상승률이 훨씬 높게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 어떤 항목의 물가가 많이 오르는지 알고, 무엇을 아껴야 하는지 분명해졌습니다.

- 통계청에서 제시하는 자료라고 해서 정말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재미 4, 진심 6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댓글